본문 바로가기
영화 지식in

[저작권 수입공개] 미국에 팔려간 KBS 드라마 '굿닥터', 얼마나 벌었을까? K-드라마 저작권수입 : 비용 및 과정

by Oonona 2025. 3. 13.
반응형

 

굿닥터를 정주행하다가 (현재 시즌 4까지 왔습니다 ! 끝내면 리뷰할게요~)
매 화 화면에 'KBS'가 언급되는데, 처음엔 국뽕이 차오르다가 ㅋㅋ
문득,

KBS와 원작자는 이걸로 얼마를 벌었을까?! 궁금해지더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K-드라마 저작권 수입: 비용 및 과정]

 먼저 드라마 개요를 훑고 가시죠 

굿닥터의 주인공 굿-닥터 '숀 머피'

The Good Doctor (ABC): 줄거리, 캐스팅 및 개요

줄거리

The Good Doctor는 자폐증과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젊은 외과 의사, 숀 머피 박사가 권위 있는 샌호세 세인트 보나벤처 병원에서 일하며 겪는 도전과 성장을 그린 드라마입니다. 그의 뛰어난 의학적 능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동료들의 의심과 편견에 맞서야 합니다. 그의 멘토인 아론 글래스먼 박사가 그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숀은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고 편견을 극복하는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의학드라마가 베이스인 작품이지만 매 화 정말 다양한 이슈를 다루며 장수 드라마의 저력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주요 캐스팅 및 등장인물

  • 프레디 하이모어 (Freddie Highmore) – 숀 머피 박사 역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뛰어난 실력을 가진 외과 레지던트)
  • 리처드 쉬프 (Richard Schiff) – 아론 글래스먼 박사 역 (숀의 멘토이자 병원장)
  • 안토니아 토마스 (Antonia Thomas) – 클레어 브라운 박사 역 (숀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따뜻한 성격의 의사)
  • 니콜라스 곤잘레스 (Nicholas Gonzalez) – 닐 멜렌데즈 박사 역 (엄격하지만 공정한 외과 의사)
  • 힐 하퍼 (Hill Harper) – 마커스 앤드류스 박사 역 (병원의 핵심 인물 중 하나)
  • 크리스티나 창 (Christina Chang) – 오드리 림 박사 역 (뛰어난 외과 의사이자 이후 외과 과장)
  • 페이지 스파라 (Paige Spara) – 레아 딜라로 역 (숀의 연인이자 파트너)

성공 및 영향

2017년 첫 방영 이후, The Good Doctor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여러 시즌 동안 사랑받아 왔습니다. 특히, 자폐증을 가진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 전개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미디어에서의 포용성과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켰습니다. 또한, 일본과 터키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도 리메이크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실까요 ? 

K-드라마 저작권 수입: 비용 및 과정

드라마 저작권 수입 비용은 얼마일까? ㅋㅋ (예상 비용 및 과정)

너무 단도직입적인 제목이지만, 제일 궁금한 부분입니다. 한국 드라마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리메이크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가 오늘 가져온 2013년 KBS2에서 방영된 굿 닥터입니다. 이 드라마는 이후 미국 ABC 방송사에서 The Good Doctor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되었습니다.

한국 드라마의 저작권을 수입하는 데 실제로 얼마나 비용이 들까요? 정확한 수치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적인 비용과 수입 과정을 조사해보았습니다. 

저작권 수입 예상 비용

K-드라마 리메이크 권리를 획득하는 비용은 드라마의 인기, 제작 가치, 계약 조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라이선스 비용: 유명하지 않은 드라마의 경우 타이틀당 $100,000~$500,000
  • 인기 드라마의 경우: 글로벌 인지도가 높은 작품은 $1,000,000 이상
  • 로열티 또는 수익 공유: 일부 계약에서는 리메이크 작품의 수익 중 3~10%를 원작사에 배분하는 경우 포함
  • 추가 비용: 각색, 제작 조정, 마케팅 등의 비용이 추가될 경우 전체 투자 비용이 수백만 달러에 이를 수 있음

The Good Doctor의 경우, KBS는 미국 제작자 다니엘 대 김(Daniel Dae Kim)에게 판권을 판매했으며, 이후 ABC에 제작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계약의 정확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드라마의 성공을 고려할 때 상당한 규모의 투자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나 지금 시즌 7까지 성공적으로 방영되어 그 금액이 로열티 계약이 포함이었을 경우 더욱 상당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하. 부럽다. )

저작권 수입 과정

 

  1. 원작 스튜디오와 협상: 미국 제작사가 원작사(KBS 등)와 접촉하여 라이선스 비용 및 계약 조건을 논의
  2. 법적 계약 체결: 저작권 기간, 수익 분배, 창작 통제권 등을 포함한 계약을 작성
  3. 각색 및 제작: 현지 문화와 방송업계 기준에 맞춰 대본을 재구성하고 제작 진행
  4. 승인 및 배급: 최종 리메이크 작품이 방송 규정을 준수한 후 방영

오늘은 저도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컨텐츠 수출이 이런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구나,, 하고 저도 공부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컨텐츠가 더욱 다양하게 수출되면 좋겠네요 ~!! 

 

그럼 다음에 만나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