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편은 제가 정주행하면서 가장 헷갈렸던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글입니다.
저는 넷플릭스에서 진격의거인을 정주행 하면서, 시즌 4를 보는데 영상에는 자꾸 시즌 3이라고 떠서
엥.. 뭐지 했었죠.
그래서 찾아본 결과 ! 시즌 표기법이 일본과 한국에는 차이가 있었고, 플랫폼별로도 다르다는 점 !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진격의 거인 일본판과 한국판의 시즌 표기는 어떻게 다를까?
『진격의 거인(Attack on Titan)』은 시즌 구성이 전 세계적으로 혼란을 주는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중 하납니다. 일본의 공식 방영 기준과 해외 스트리밍 플랫폼(넷플릭스, 애니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등)의 시즌 표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 왜 그런 구조가 생겼는지도 설명하겠습니다.
일본판 시즌 구성 기준
일본에서는 『진격의 거인』을 총 4개의 시즌으로 나눕니다. 이 시즌들은 다시 파트(Part) 혹은 Final이라는 이름으로 세분화됩니다.
- 시즌 1 (2013): 25화
- 시즌 2 (2017): 12화
- 시즌 3 Part 1 (2018): 12화 / Part 2 (2019): 10화
- 시즌 4 (The Final Season):
- Part 1 (2020): 16화
- Part 2 (2022): 12화
- Part 3 (2023 상반기): 스페셜 에피소드 1편
- Part 4 (2023 하반기): 시리즈 마지막 스페셜 에피소드 1편
📌 일본은 제작 단위와 방영 전략에 따라 하나의 시즌을 여러 파트로 나누는 관행이 있다. 특히 시즌 4는 "Final Season"으로 명명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시즌 5~7에 해당할 만큼 분량이 길다. 하지만 일본 공식 명칭은 어디까지나 시즌 4로 유지되었다.
한국/글로벌 OTT에서는 어떻게 표기될까?
넷플릭스, 애니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등 해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이 일본의 "파트 나누기"를 따로 시즌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 기준 시즌 | 글로벌 플랫폼 표기 (예: 넷플릭스) |
---|---|
시즌 1 | 시즌 1 |
시즌 2 | 시즌 2 |
시즌 3 Part 1 | 시즌 3 |
시즌 3 Part 2 | 시즌 4 |
Final Season Part 1 | 시즌 5 |
Final Season Part 2 | 시즌 6 |
Final Season Part 3~4 | 시즌 7 |
즉, 당신이 넷플릭스에서 "시즌 4"를 보고 있다면, 그것은 일본 기준으로는 사실 시즌 3 Part 2인 셈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일본은 시즌 4를 계속 늘렸을까?
- 제작사 변경: 시즌 4부터 제작사가 WIT STUDIO에서 MAPPA로 바뀌면서, 제작 일정이 느슨해졌고, 파트 분할이 많아졌다.
- 스토리 밀도: 최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방대하여 한 번에 제작 및 방영하기 어려웠다.
- 마케팅 전략: 'Final Season'이라는 이름으로 시리즈의 마지막을 여러 번 강조하며 팬덤의 관심과 긴장감을 유지하는 전략.
마무리: 시즌 혼동을 피하는 법
『진격의 거인』을 감상할 때는 단순히 시즌 숫자만 보지 말고, 에피소드 제목이나 방영 연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특히 해외 플랫폼을 통해 시청할 경우, 일본 공식 기준과 다른 시즌 구분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처럼 같은 작품이라도 스트리밍 플랫폼이나 제작 국가에 따라 시즌 표기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글로벌 콘텐츠 소비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체크포인트가 되었습니다.

이제 헷갈림 없는 감상 ! 하시길 바라며!
진격의 거인 리뷰를 이어서 들고 오겠습니다!
'OTT 볼만한 애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격의 거인』은 누가 만들었을까? (0) | 2025.07.20 |
---|